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시조가 있는 아침]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이황(1501∼1570)   제11곡   청산(靑山)은 어찌하여 만고(萬古)에 푸르르며   유수(流水)는 어찌하여 주야(晝夜)에 긋지 아니는고   우리도 그치지 말아 만고상청(萬古常靑) 하리라   - 도산육곡판본(陶山六曲板本)     ━   정치의 기반은 철학     조선 유학의 대종(大宗)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벼슬을 버리고 고향 안동에 돌아가 도산서원(陶山書院)을 짓고 후진 양성에 전념하던 63세 때 지은 연시조 12수 가운데 열한 번째 작품이다.   푸른 산은 어찌하여 영원히 푸르며, 흐르는 물은 또 어찌하여 밤낮으로 그치지 않는가? 우리도 저 물같이 그치는 일 없이 저 산처럼 언제나 푸르게 살겠다는 학문 도야와 수양의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만고상청’은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이자 이상으로, 진리가 내면화된 경지라고 하겠다. 도산12곡은 전6곡과 후6곡으로 구성됐는데 전6곡은 사물에 접하는 감흥을 노래한 언지(言志), 후6곡은 학문 수양에 임하는 심경을 노래한 언학(言學)이라고 명명하였다.   퇴계는 우주의 현상을 이(理)와 기(氣)의 이원(二元)으로 설명하였다. 인간의 순수이성은 절대선(絶對善)이며 여기에 따르는 것을 최고의 덕으로 보았다.   조선의 사대부에게는 도학 정치라는 지향점이 있었다. 정치의 기반은 철학이다. 철학이 없는 정치는 사회를 혼탁하게 하고 역사의 지향점을 오도하기도 한다. 오늘날 한국 정치는 어떤 철학에 바탕하고 있는가? 유자효 / 시인시조가 있는 아침 도산 학문 수양 조선 유학 오늘날 한국

2023-07-27

[시조가 있는 아침] 공명(功名)도 너 하여라

  ━   공명(功名)도 너 하여라     기정진(1798∼1876)   공명도 너 하여라 호걸도 나 싫어서   문 닫으니 심산(深山)이요 책 펴니 사우(師友)로다   오라는 데 없건마는 흥(興) 다하면 갈까 하노라   -노사집(蘆沙集)     ━   지식인은 난세를 어떻게 사나?     노사 기정진(奇正鎭)은 조선을 대표하는 마지막 유학자 중 한 사람이다. 그의 가문은 조선 중기의 대유학자 기대승(奇大升)을 배출한 호남의 명문이었다.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이 내려졌으나 나가지 않고 학문 수양에 힘썼다.   68세 때 병인양요가 일어나자 ‘육조소(六條疏)’라는 상소문을 올려 위정척사의 이론적 기반이 되기도 했다. 최익현이 도끼를 들고 궐문에 나아가 상소를 올려 일본과의 조약 체결에 반대한다는 소리를 듣고 “동방에 사람이 없다는 비웃음은 피할 수 있겠다”며 기뻐하기도 했다.   그는 책 속에서 삶의 길을 찾았고 실천했다. 위태로운 나라 앞에서 스스로 나아감과 물러남을 알았으니 경전 속에 스승과 벗이 있었다. 고종 13년, 병자수호조약이 체결되자 78세 노구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자신을 한탄하며 붓과 벼루를 버렸다.   난세를 사는 옛사람의 결기가 이러하였다. 특히 지식인의 삶의 미덕은 자신을 버리는 데 있었다. 이름을 드날리는 것이나 호기로운 삶도 마다하고 수양에 힘쓰다가 나라가 위기에 처하면 결연히 일어서 몸을 바쳤다. 한국식 노블레스 오블리주 정신이었다. 유자효 / 한국시인협회장시조가 있는 아침 공명 노사 기정진 한국식 노블레스 학문 수양

2023-01-1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